그림 설명 시작. 행사 포스터 웹자보.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기업 책임강화를 위한 아시아 연대와 대응 국제포럼. Asia Regional Forum on Solidarity and Action for Strengthening Corporate Accountability in Global Supply Chains.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30분가지.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기조연설. 글로벌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인권환경침해와 아시아 국가·기업의 중요성. 피차몬 여판통 유엔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위원장. 제1부 현장의 목소리: 아시아 공급망에서의 인권·환경 침해 실태와 공급망에서의 대응. 배터리 산업 공급망과 인권·환경 침해. 수산업 공급망과 노동인권. 제2부 교차하는 연대: 동아시아 공급망에서의 기업 권력 대응. 반도체노동과 기후정의운동: 반도체특별법 반대운동과 아시아에서의 함의. 의류산업과 노동권: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공급망을 연결하기. 제3부 법·정책적 대응: 공급망 책임강화를 위한 아시아 각국의 대응제도 현황. 주최: 국회의원 정태호. 국회의원 김태선. 국회의원 박지혜. 국회의원 이용우. 주관: 기업과인권네트워크. Human Rights Now (일본). TTNC Watch (대만). 남색 배경에 반도체, 어선, 광물, 의류, 자동차, 배터리, 크레인, 나무, 확성기, 중장비, 휴대전화, 물고기, 의사봉 등의 아이콘이 흩뿌려져 있는 배경. 그림 설명 끝.

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국적기업 및 국경을 넘는 기업의 공급망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일본, 대만 등의 기업은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다양한 생산국에서 노동력과 자원을 조달하며, 이 과정에서 강제노동, 산업재해, 환경오염과 같은 심각한 인권·환경 침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고, 발생한 피해에 대해 구제를 보장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는 아시아 전역에서 여전히 부재한 상황입니다. 유럽연합 및 일부 국가에서는 기업의 공급망 전반에 대한 인권·환경 실사 의무를 법제화하고 있지만, 아시아 지역은 관련 입법이 사실상 공백 상태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에서는 2025년 6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인권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안」(약칭,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이 정태호 의원 대표 발의로 국회에 제출이 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법적 구속력을 갖춘 실사법’ 제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점에서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국제 컨퍼런스를 통해 아시아 지역 다국적기업의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인권·환경 침해 사례들을 조명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응한 사례 및 각국의 법적·제도적 현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인권·환경 책임에 관한 아시아 지역 연대를 촉진하고, 한국에서 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 제정 촉구를 통해 기업의 인권·환경 책임에 대한 법제화 흐름을 선도적으로 견인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행사명: <글로벌 공급망 책임강화를 위한 아시아 연대와 대응 국제포럼>

○ 일시: 2025. 10. 30.(목) 10:00-17:30

○ 장소: 국회의원 회관 제2소회의실

○ 주최: 국회의원 정태호, 김태선, 박지혜, 이용우

○ 주관: 기업과인권 네트워크(한국), Human Rights Now(일본), TTNC Watch(대만)

○ 프로그램:

전체사회 - 박영아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그림 설명 시작. 프로그램 시간표. 시간. 프로그램. 사회/발제자. 10:00~10:10. 축사. 국회의원 정태호, 김태선, 박지혜, 이용우. 10:10~10:30. 기조연설: 글로벌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인권환경침해와 아시아 국가와 기업의 중요성. 피차몬 여판통 유엔 기업과인권 실무그룹 위원장. 제1부: 현장의 목소리 – 아시아 공급망에서의 인권∙환경 침해 실태와 공급망에서의 대응. 10:30~11:20. 배터리 산업 공급망과 인권∙환경 침해: 인도네시아에서 동아시아로. 사회: 푸아드 압둘가니. 인도네시아 니켈 채굴 현장에서의 문제 : 피우스 긴팅 (Aksi Ekologi & Emansipasi Rakyat). 한국 기업 공급망 사례 및 대응: 김혜린 (기후해양정책연구소 코리). 일본 기업 공급망 사례 및 대응: 시게루 다나카 (Pacific Asia Resource Center). 대만 기업 공급망 사례 및 대응: 신쉬안 쑨 (Environmental Rights Foundation). 11:20~ 12:10. 수산업 공급망과 노동인권. 사회: 다니엘 아위그라.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의 어업에서의 노동인권 문제: 아지자 합사리 (독립연구자). 일본 기업 공급망 사례 및 대응: 모모리 나카가와 (Human Rights Now). 대만 기업 공급망 사례 및 대응: 이샹 스 (Taiwan Association for Human Rights). 한국 기업 공급망 사례 및 대응: 정신영 (공익법센터 어필). 점심 식사 12:10~13:20. 그림 설명 끝.
그림 설명 시작. 제2부: 교차하는 연대 - 동아시아 공급망에서의 기업 권력 대응. 13:20~14:20. 반도체산업과 환경·기후권리. 사회: 예 인트. 반도체산업과 위험의 외주화: 권영은 (반올림). 반도체 산업의 환경·기후 영향: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만 반도체 산업과 기후환경영향: 마크 수 (Environmental Rights Foundation). 일본 전자산업과 아시아 노동자의 권리: 시게루 다나카 (Pacific Asia Resource Center). 아시아 전자산업과 노동 환경 권리: 엘리노어 로케 데 구즈만 (Good Electronics). 14:20~ 15:00. 의류산업과 노동권 -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공급망을 연결하기. 사회: 양현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공익법률센터). 쿠데타 이후 대만 및 한국 투자 기업의 미얀마 의류생산 현장 실태: 로이 넝 (Clean Clothes Campaign). 한국 기업의 동남아시아 의류 공급망 현장 실태: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일본 기업의 동남아시아 의류 공급망에서의 노동권 대응 사례: 유리 사토 (Human Rights Now). 커피 브레이크 15:00~15:30. 제3부: 법·정책적 대응 – 공급망 책임강화를 위한 아시아 각국의 대응제도 현황. 15:30~17:20. 기업의 인권환경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법·정책적 대응책. 사회: 박영철 (울산인권운동연대). 인권실사의무화와 강제노동 수입금지 추진을 포함한 한국의 법과 정책 발전 동향: 신유정 (기후솔루션/기업과인권 네트워크). 일본의 규제 및 공급망 인권문제에 대한 대응의 한계: 류타로 오가와 (Human Rights Now). 대만의 인권실사와 대외 투자 규제 현황: 포청 린 (Environmental Jurists Association). 태국의 인권실사 제도화 동향: 네일라 망쟁 마이자 (Manushya Foundation). 공급망 책임 강화를 위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박태성 (국가인권위원회). 아시아 지역 내 국제적 협력과 옹호활동 강화: 피세스 더치 Business & Human Rights Resource Centre). 그림 설명 끝.